본문 바로가기
인기검색 순위

4대 보험 요율 간편 계산 이용 방법 2023년 기준 알아보기

by 바른블로그 2022. 12. 27.

2023년 4대 보험 요율 간편 계산기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그리고 고용보험을 공제하고 연봉, 월급 기준으로 실제 받는 실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4대 보험을 제외하고 계산해야 됩니다. 국민연금 요율은 2023년 기준 9%이고 건강보험 요율은 7.09%입니다. 마지막으로 고용보험요율은 근로자 기준으로 0.9%입니다. 그렇다면 2023년 실제 내가 받는 실수령액을 자세히 계산해 보겠습니다.

국민연금요율

국민연금은 사업장가입자의 경우 보험료율인 소득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본인과 사업장의 사용자가 각각 절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즉, 국민연금은 내가 4.5%를 내고 회사가 나머지 절반인 4.5%를 매월 납부하게 됩니다. 사업장가입자의 연금보험료는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납부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납부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국민연금은 월급을 받기 전에 기본적으로 차감되어서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항목 근로자 사업주 보험요율
(근로자+사업주)
국민연금 4.5% 4.5% 9.0%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2023년

2023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은 최저 35만 원이고 최대 553만 원입니다.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매월 납부하고 있는 국민연금은 최대 497,700원부터 최저 31,500원까지입니다.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기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근로자가 납부하는 국민연금은 최대 248,850원이고 최저 15,750원입니다. 정말 금액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구분 2021년 2022년 비고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5,240,000 5,530,000  290,000
하한액 330,000 350,000 20,000
국민연금 보험료 최고 471,600 497,700 26,100
최저 29,700 31,500 1,800

[연말정산 교육비 세액 공제 정보]

 

연말정산 교육비 세액공제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 대학교 학원비

연말정산 교육비 세액공제는 미취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다니는 가족 구성원의 교육비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비 세액공제와 공제 대상 그리고 금액 한도를 쉽고 정확

usb-golf.tistory.com

건강보험요율

2023년 건강보험요율은 무려 7.09%입니다. 갈수록 늘어만 가는 건강보험료는 정말 부담되는 세금이라고 매번 생각이 듭니다. 마찬가지로 근로자(개인)와 사업자가 절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근로자는 3.545%이며 사업자도 마찬가지로 3.545%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8% 라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2.5%에 대해서 근로자와 사업자는 반반씩 50% 부담하게 됩니다.

구분 기준액 보험료율(%) 근로자 (%) 사업주 (%)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7.09 3.545 3.545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 12.81 6.405 6.405

 . 장기요양보험이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 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고용보험요율

고용보험은 실직근로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실업호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위해서 재취업 전까지 근로자에게 직업능력개발또는 생활안전 목적으로 고용보험에게 실업급여를 실직자에게 지급합니다. 고용보험요율은 근로자 기준으로 0.9%입니다. 사업주는 0.9% +a 라고 보시면됩니다. 아래 표를 확인 하시고 고용보험요율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근로자 (%) 사업자 (%)
실업급여 (2022.7.1 기준) 0.9 0.9
고용 안정
직업 능력
개발 사업
150인 미만 사업자 - 0.25
150 이상 (우선사업지원대상기업) - 0.45
150인 이상, 1,000인 미만기업 - 0.65
1,000인 이상기업, 국가지방자치단체 - 0.85

산재보험요율

산재보험은 사업장의 근로자가 업무상 발생하는 재해로 인해 부상, 질병, 신체장해, 사망 등을 당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신속한 보상을 하고 사업주에게는 근로자의 재해에 따른 일시적인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국가에서 관장하는 사회보험입니다.

2023년 산재보험요율은 업종별로 다릅니다. 전 업종 평균을 살펴보면 1.43% 평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출퇴근 중에서 발생되는 재해는 산재보험료율은 구분하지 않고 0.10%일괄적으로 적용됩니다. 다행히도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납부하지 않고 사업주만 납부하게됩니다. 정말 대한민국 직장인들은 정말 많은 보험료를 지불하고 있다고 보시면됩니다.

2023 산재보험요율 안내표
2023년 산재보험요율 표

4대 보험 간편 계산방법

4대 보험 간편 계산방법은 아래 사이트를 통해서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신고 소득월액은 비과세금액을 제외하고 과세금액만 입력하시면 쉽고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식대는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라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2년 식대는 10만 원이었지만 2023년은 10만 원이 오른 20만 원입니다.

. 4대 보험료 간편 계산기 바로 가기 (https://www.nps.or.kr/jsppage/business/insure_cal.jsp)

 

[자동차세 납부 정보]

 

자동차세 납부 연납 세금 감면 혜택 최대 50%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매년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됩니다. 가장 저렴하게 자동차세를 납부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세는 자동차관리법에 의해 등록

usb-golf.tistory.com

[연말정산 기부금 정보]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한도 방법 계산 알아보기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알려 드립니다. 근로자 기준 1월 서류 제출을 마무리하셔야 2월 연말정산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매년 하는 연말정산이라도 헷갈려서 누락하거나 중

usb-golf.tistory.com

댓글


<